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완전 정리)

by 다이렉트25 2025. 3. 25.

“나는 국민연금도 받고 있는데, 기초연금도 받을 수 있을까?”
“두 가지 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면, 노후에 도움이 많이 될 텐데...”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죠?
2025년 현재,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의 동시 수령은 가능합니다.
다만, 모든 사람이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소득과 재산 조건에 따라 기초연금액이 줄어들거나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조건, 금액, 유의사항까지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의 차이점 먼저 이해하기

 

핵심 질문!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답: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기초연금의 지급액은 국민연금 수령액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즉, 국민연금 수급자라고 해서 무조건 기초연금을 못 받는 건 아니지만,
국민연금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은 줄어들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기초연금 수급 대상 조건 (2025년 기준)

  1. 만 65세 이상
  2.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3. 국내 거주자
  4.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자
  • 단독가구: 월 214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42만 4천 원 이하

※ 소득인정액 = 실질 소득 + 환산 자산 (예: 자동차, 부동산 등)

 

국민연금을 받고 있다면, 기초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국민연금 수급자가 기초연금을 신청하면 “기초연금 감액 기준”에 따라 일부 금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 감액 기준 핵심 요약

  • 국민연금 월 수령액이 50만 원을 초과할 경우, 기초연금 일부 감액
  • 감액 상한은 최대 50% 수준

예를 들어,
국민연금으로 월 70만 원을 받고 있다면,
기초연금은 최대 약 16만 원~20만 원 수준으로 감액 지급될 수 있습니다.

 단, 부부가 모두 연금을 수령할 경우엔 부부감액 기준도 적용됨

예시로 이해하는 기초연금 & 국민연금 동시 수령

 

주의할 점

  1. 국민연금을 많이 받는다고 무조건 기초연금 탈락은 아님!
    → 감액되더라도 일부 지급은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부부 모두가 연금 수급자인 경우,
    부부 감액 적용으로 각자 수령액이 더 줄어들 수 있음
  3.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수급자
    기초연금 대상 아님 (제외대상)

 

기초연금 신청 방법

  1. 신청 시기: 만 65세 생일이 도래하기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2. 신청처: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국민연금공단 지사
  1. 필요 서류:
  • 신분증
  • 소득 및 재산 확인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등

국민연금 수급자는 자동으로 기초연금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반드시 별도 신청 필요!

 

 결론: 기초연금 + 국민연금 = 가능! 단, 조건 체크는 필수

  • 국민연금을 받고 있어도 기초연금은 동시 수령 가능
  •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 감액 가능성 있음
  • 무연금자, 저소득자는 기초연금 최대 금액 수령 가능성 높음
  • 신청은 반드시 본인이 해야 하며, 신청 시점도 놓치지 말아야 함